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은행 업무를 해결하기 때문에 무통장입금 하는법이 자연스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좌의 입금 한도가 무통장 입금 한도보다 낮게 묶여있어 송금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이란 단어 그대로 통장이 없어도 계좌로 입금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무통장입금 하는법은 ATM 기계를 이용하는 방식과 은행의 창구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우선 ATM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은행마다 ATM을 운영하고 있고, ATM은 은행 업무 시간인 09:00~16:00 이외의 시간에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24시간 운영하는 것은 아니고, 은행마다 점검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시간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송금 받을 사람의 계좌와 동일한 은행의 ATM에서만 입금이 가능하다는 불편함도 존재합니다.
ATM으로 무통장입금 하는법
우선 수취인 계좌로 입금이 가능한 ATM을 찾은 후 기계에서 입금-무통장 입금의 버튼을 눌러줍니다.입금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후에 수취인의 계좌번호를 입력합니다. 이후 안내에 따라 입금자의 연락처를 입력하고 지폐를 가지런히 펴서 투입구에 넣어줍니다. 화면에 나오는 금액과 본인이 넣은 금액이 동일한지 확인 후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완료됩니다.
주민등록번호와 개인 연락처는 본인 확인용으로만 이용되며, 수취인에게 공유되지 않습니다. 또한 각 은행의 지점마다 천 원짜리 지폐가 불가능한 ATM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 후 업무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순서로 적어놓으니 매우 복잡하게 보일 수 있지만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다만 은행마다 입력 순서나 선택 단어가 다르게 보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어르신들은 기계가 익숙하지 않다 보니 다른 무통장입금 하는법이 필요하실 거라 생각됩니다.
은행 창구를 통하여 입금하는 법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은행 업무 시간에 방문하여 은행 창구를 통하여 입금하는 방법입니다. 창구를 통하여 입금할 때는 받을 사람의 은행 계좌와 동일하지 않아도 가능은 합니다. 하지만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되도록 동일한 은행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에 방문하셔서 순번표를 뽑고 본인의 차례가 오면 창구에서 신분증으로 본인확인을 마친 후 입금 절차가 진행됩니다. 입금 받을 수취인의 이름과 계좌번호를 현금과 함께 창구에 전달하면 입금이 완료되는 방식입니다. ATM을 이용한 무통장 입금 방식보다는 간편하지만, 은행 업무 시간을 맞춰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있습니다.
변경된 무통장 입금 한도
마지막으로 무통장 입금의 한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ATM을 이용한 무통장 입금의 1회 한도액은 보이스피싱의 기승으로 10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축소되었습니다. 또한 무통장 입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 또한 하루 최대 300만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창구를 이용한 무통장 입금의 한도는 기존과 동일하므로 무통장 입금 시 참고 바랍니다.
이상 무통장입금 하는법에 대한 두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주변 은행에서 무통장입금 하는법을 따라서 해보시고 필요한 상황에 활용하시면 됩니다. 모두 건강한 금융생활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자료
아이폰 비밀번호 분실한 경우 해결 방법